Crux Mount FAQ

- 01
가이드가 주기적으로 튀는 이유는 몇가지가 있을수 있습니다.
1. 가이드CCD의 후면 연결선이 고정이 안되어 있거나
2.가이드 CCD가 고정이 확실히 안되어 있거나
3.CRUX에 적정보다 많은 탑재를 하고 추를 사용 안 했다거나
4.사진 촬영시 가까운 곳에서 담배를 핀다거나
5.난방하는 곳 위를 향해 촬영하거나 또는 문을 여 닫거나
6.시상이 매우 나쁘거나
7.가이드CCD의 초점이 정확치 않거나
8.가이드성이 너무 밝거나
9.가이드성이 너무 어둡거나
10.가이드성이 가이드CCD면의 끝에 있거나
11.가이드 캘리브레이션시 움직임이 너무 적거나
12.가이드 캘리브레이션시 움직임임이 너무 크거나
13.가이드 노출이 너무 길거나
14.가이드 노출이 너무 짧거나
15.가이드 보정속도가 초점거리에 비해 너무 빠르거나
16.가이드 보정속도가 초점거리에 비해 너무 느리거나
17.가이드경의 렌즈나 주경이 잘 고정되어 있지 않거나
18.가이드경의 초점거리가 너무 길거나
19.가이드경의 초점거리가 너무 짧거나
등등 너무 많은 이유가 있습니다.
대부분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주기적으로 튀는 증세가 있다면 동영상이나 그 주기의 시간을 측정 후 저 황인준 에게 연락을 주시기 바랍니다.
이 경우 조립 불량의 가능성과 또는 하모닉 중고기어의 불량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이에 대한 대응은 적극적이며 신속하게할 예정입니다.
- 02
CRUX 시리즈의 안정 탑재중량은 망원경을 올려서 적위를 완전히 지면에 평행하게 한 상태로 전원을 껐을때 밀리지 않아야 합니다. 혹 망원경이 밀려버리면 추를 그만큼 달아주던지 해야 합니다. 추가 없는 경우에도 적위를 회전하여 지면과 평행하게 놓은 상태로 전원공급을 멈추었을시 망원경쪽이 떨어지지 않아야 안정적 탑재중량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전원 공급이 되면 모터의 전자기에 의한 홀딩토크가 발생하여 더 탑재가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안전 탑재중량이라 볼 수 는 없습니다.
테스트할 경우 망원경쪽을 손으로 바쳐 혹 모를 충돌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03
CRUX 시리즈의 주기오차는 파동기어의 주기오차와 같이 +-20초 안쪽입니다. 고배율 관측을 할 경우 토성이나 목성 크기정도를 주기적으로 왔다 갔다 한다는 뜻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EM200의 +-7보다는 매우 큰편입니다. 파동기어 드라이브 적도의의 가장 큰 장점은 백레쉬가 없고 중량대비 탑재가 많이 된다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는 하모닉 적도의를 이용한 사진 촬영은 반드시 가이드 촬영을 전제로 합니다. 가이드 촬영을 할 경우 일반 웜휠 적도의에 비해 그 장점은 배가 됩니다.
하지만 포기할 일은 아닙니다.
물론 CRUX-170HD에는 PEC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탑재된 PEC기능을 이용하면 백레쉬가 없는 하모닉 적도의의 강점을 100% 낼 수 있습니다. PEC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초점 십자 아이피스를 구비하여 메뉴얼에서 지시하는대로 학습을 시킨 후 사용을 하면 됩니다.
- 04
- 05
- 06
Crux 170HD의 경우
직접적인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아래의 예시들은 안시관측의 경우입니다. 사진관측의 경우 가이드경과 카메라등 무거운 장비가 추가로 필요하므로 망원경의 구경은 한 두 단계씩 밑의 급 망원경을 고려해야 합니다.
-다카하시 : FSQ106이하의 굴절망원경, 뮤론 200이하의 카세그레인 망원경, 입실론 160
-GSO : 10인치 트러스RC망원경 이하, 8인치 반사망원경 이하
-Celestron, Meade : 9.25인치 슈미트 카세그레인 망원경 이하
-Vixen : Visac 8인치, R200ss, 5인치 굴절 망원경 이하
- 07
대부분의 하모닉 적도의에 있는 현상으로 무게추 없이 망원경을 장착하여 동쪽방향의 대상을 촬영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서 원인과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하모닉기어에는 백레쉬가 없지만 일반 감속기어모터는 감속기어에서 백레쉬가 존재합니다. 하모닉기어를 넘어 모터의 감속이어에 영향을 주게되는 시점부터 튐 현상이 일어납니다. 하모닉 적도의는 무게추없이 사진 촬영하면 핸디캡을 갖게 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무게추 사용을 권정합니다. 따라서 하모닉 적도의는 무게추 없이 쓰는 적도의가 아니고 벨런스에 대해 어느정도 자유롭다로 해석하면 될 듯 합니다.
서쪽대상을 촬영 할 경우에는 전혀 무게벨러스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는 일반 웜휠 적도의의 사진 촬영시 유리한 무게벨런스가 존제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따라서 항상 서쪽이 무거우면 문제는 해결 됩니다. 하모닉 적도의의 하자를 체크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서쪽 대상을 높은 고도부터 촬영을 하여 대상이 질 때까지 문제가 없다면 그 하모닉 적도의는 문제가 없는 것입니다.
정교한 가이드와 사진 촬영을 위하여는 항상 여유있는 탑재가 유리합니다. 50년전에도 20년전에도 정설이며 하모닉적도의도 예외는 없습니다. Crux140T같이 가벼운 적도의는 가벼운 망원경이나 렌즈를 사용하여 촬영 할 것을 권합니다. 무거운 시스템을 올리면 그 만큼 정교한 가이드는 어렵게 됩니다.
- 08
두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극축이 제대로 맞지 않은 경우입니다. 소형 적도의의 경우 삼각대 또한 경량이어서 극축을 맞추고 망원경 세팅을 하게 되면 극축이 틀어지는 경우가 왕왕 발생합니다. 바닥이 딱딱한 곳에 설치하되 망원경 카메라등을 다 세팅 한 후 극축을 맞추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두번째는 시상이 안 좋은 경우입니다.
CRUX시리즈는 적경적위 양축 모두 백레쉬가 없으므로 시상이 가이드 그래프의 좋고 나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됩니다. 가이드 그래프의 보정량이 크고 그래프의 피크투 피크가 크면 시상이 안 좋은 경우가 많습니다.
- 09
- 10
- 11
적경모터는 늘 같은 방향으로 가다가 덜가다가 하면서 언제든 백레쉬가 없는 상태로 추적 가이드가 가능합니다. 백레쉬는 하모닉에서는 없지만 PPS를 확보하기 위해 모터에서 하모닉 중간에 유성감속기를 이용하여 감속을 하게 되는데 필연적으로 백래쉬가 존재하게 됩니다. 하지만 적경축은 이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가이드와 추적이 가능합니다. 이는 앞서 얘기한 대로 한벙향으로만 돌기 때문에 유성감속기의 백레쉬가 최종적으로는 영향을 주지를 않습니다. 하지만 적위축은 사정이 다릅니다. 모터의 도는 방향이 잔대가 되기도 하므로 유성감속기를 사용하면 백레쉬의 여향을 최종적으로도 받게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0.9도 400스탭의 모터를 직결하여 이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의 문제는 최종 PPS 값이 떨어지는 것인데 사실 적위축의 경우는 이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고 보면 됩니다. 촬영을 하거나 관측을 할때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적경에만 의지하기 때문입니다. 적위의 모터는 가이드나 자동도입 그리고 미동시킬 때에만 필요하므로 PPS가 낮아도 전혀 문제가 없는 것입니다.
- 12
- 13
4인치 굴절망원경을 무게 균형 추 없이 올려 사용하는 것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니 카메라 삼각대나 카본처럼 가며운 삼각대를 사용할 경우 균형이 완전히 깨진 위치에서는 경우에 따라 약한 힘이 가해져도 전체가 넘어질 위험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제공되는 추를 달고 10키로 이상의 망원경을 올렸을 떄애도 마찬가지 위험성이 있습니다. 되도록 넓게 펼쳐지는 삼각대를 이용하거나 튼튼한 삼각대를 이용할 것을 권해 드립니다. CRUX-170HD의 경우 90미리급 굴절과 SBIG STL11K정도는 문제없이 추 없이도 안시 사진에 대응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지지 삼각대가 튼튼 할 경우 더 무거운 패키지도 추 없이 가동이 가능합니다.
- 14
- 15
주기오차는 정밀한 웜기어에 비하면 특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지속적으로 나아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대략 +-25초 정도라고 합니다. 하지만 백레쉬가 없는 장점과 주기오차의 단점중 어느 것이 사진촬영등의 정밀작업에 유리할까 하는 문제가 이슈가 되는데 수년간 호빔천문대에서 사용해 본 결과로는 백레쉬가 없는 것이 매우 높은 가이드 응답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아주 짧은 주기의 가이드가 가능하게 됩니다. 이런 장점은 주기오차가 큰 단점을 극복하고도 남는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밝은 별로 가이드를 할 경우 0.1초의 가이딩이 가능합니다.
- 16
- 17